노인에게서 나타나는 고혈압!
특징적으로 나타나는 현상들은?
노인 인구는 증가하고 있습니다. 노인에게서 높은 사망 원인 중 하나는 순환기계 질환이며 그중 중요한 원인을 차지하고 있는 고혈압에 대해 심장내과 류현민 교수와 알아봅시다.
노인성 고혈압
2018년 고혈압 환자 중 50대 이상이 무려 91%에 달하는 결과가 있었습니다. (*2016~2018년 50대 이상 진료 인원,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자료) 이만큼 고연령자들에게서 많이 발병되는 고혈압, 노인성 고혈압은 일반적인 고혈압 진단과는 별다른 차이가 없습니다.
혈압이란? 혈관 속을 흐르고 있는 혈액이 혈관벽에 가하는 힘을 말하는데 정상 혈압은 120/80mmHg 이하이며, 140/90mmHg 이상이면 고혈압으로 진단을 내립니다.
보통 고혈압은 증상이 없는 경우가 많은데 노인에게 나타나는 고혈압은 심한 동맥경화증, 심기능 감소, 신경계 반응의 감소 등으로 인해 호흡곤란, 흉통, 전신 쇠약감 등의 다양한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노인성 고혈압에 특징적으로 나타나는 현상
가성 고혈압
심한 동맥 경화증에 의해 나타나는 통상적인 혈압 측정 방법으로 잰 혈압과 실제 혈관 내 압력의 현저한 차이에 의한 것으로 혈관 내 압력은 정상이나 측정한 혈압은 고혈압으로 측정되는 것을 말합니다.
고혈압 치료 시 실제 혈관 내 압력의 감소에 의해 저혈압 증상이 나타날 수 있으며 실신, 전신 쇠약감 등이 올 수 있습니다.
기립성 저혈압
노인 고혈압의 치료 중 자주 발생하는 현상으로 앉았다가 일어설 경우 심한 어지럼증을 호소하거나 심한 경우에는 실신까지 나타날 수 있습니다.
약제에 민감한 반응, 신경계의 반응 능력 감소, 심기능 저하 등 여러 원인에 의해서 나타날 수 있습니다.
고립성 수축기 고혈압
동맥경화증에 의한 혈관의 탄성 감소에 의한 것이 주원인이며 심장의 수축기에만 혈압이 증가된 경우로 수축기 혈압에서 이완기 혈압을 뺀 맥압이 증가되는 것이 특징입니다.
일중 혈압 변동의 증가
일반적으로 고혈압 환자에게서는 일중 혈압 변동이 정상적인 사람에 비해 크게 나타나지는 않습니다.
그러나 노인 고혈압에서는 하루 중 혈압의 변동이 심한 것이 특징이며 이것은 약제에 민감한 반응을 나타내기도 합니다.
이 경우 심한 혈압의 증가에 의해 협심증과 같은 증상이 나타날 수도 있으니 혈압을 정상화시켜주는 것이 중요합니다.
동반 질환의 증가
다른 동반 질환이 많기 때문에 합병증이 매우 심하게 나타날 수 있고 치료 시 약제 선택에 주의해야 합니다.
고혈압의 합병증
1. 심부전의 발생 빈도가 높다.
노화와 관련된 가장 큰 심장의 변화는 심장의 수축력은 변화가 없으나 확장 능력의 감소가 발생한다는 것이며 확장 능력의 감소가 발생하면, 좌심방에서 좌심실로의 혈류의 이동이 저하되어 좌심방의 압력이 증가하는 결과를 낳습니다. 그렇게 되면 폐동맥 쐐기압이 증가됩니다.
따라서 빈맥이 발생되어 좌심실의 이완시간이 감소되며 좌심실의 이완 기능이 더욱 감소하게 되어 심부전이 쉽게 발생할 수 있습니다. 또한, 체액의 증가에 의해서도 좌심방의 압력이 증가되어 심부전이 쉽게 발생할 수 있습니다.
2. 허혈성 심질환의 발생 빈도가 높다.
노인의 경우 일상적으로 활동량이 적기 때문에 병이 상당히 진행된 경우를 제외하고는 증상을 호소하지 않는 경우가 많은데요.
통증에 대한 예민도가 감소되어 있기 때문이며 특히 당뇨를 동반한 경우에 흔하게 나타납니다.
또한 전형적인 흉통 이외에 호흡곤란, 심부전, 의식 저하, 섬망 등의 다양한 증상이 나타날 수 있고 증상이 상당히 진행된 경우에 나타날 수 있습니다.
3. 노인성 고혈압 치료에서의 특징
노인의 경우 운동을 하면 맥박수의 증가가 적고 혈관확장에 의한 심박출량의 증가로 혈압의 상승을 완충하는 효과가 작기 때문에 운동 시에 혈압의 현저한 증가가 나타날 수 있습니다.
그러므로 노인성 고혈압 치료를 위해 운동을 시작할 때는 주의가 필요하며 약물에 대한 반응 차이가 나기 때문에 약물을 선택할 때에도 주의가 필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