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상, 결석의 크기 및 위치, 요관폐색 또는 요로감염의 유무, 요로의 해부학적 이상, 결석의 원인에 따라 치료법을 선택하게 됩니다. 결석의 치료는 합병증이 없는 크기가 4mm 미만의 작은 요로결석의 경우 진통치료와 더불어 다량의 수분을 섭취하며 자연배출을 기다리는 치료를 하게 되며 자연배출을 기대하기 어려운 경우 체외충격파쇄석술, 내시경적 치료, 개복수술적 치료 등이 고려 될 수 있는데 일차적인 치료법으로써 가장 비침습적인 체외충격파쇄석술은 선택하는 것이 최근 요로결석 치료의 경향입니다.
- 체외충격파쇄석술: 체외충격파쇄석기는 결석에 충격파를 가하여 분쇄하는 최첨단 의료장비로서, 종래의 개복 등의 관혈적 절석술로 인한 오랜 기간의 입원, 출혈, 감염 및 신 손상 등의 합병증을 피할 수 있고, 상부 요로결석 뿐만 아니라 하부요로결석에도 확대 적용되어 시술이 가능하고, 그 성공률도 매우 높으며 비침습적인 방법으로 치료효과가 높고 부작용이나 합병증이 경미하여, 안전한 치료 방법으로 인정되어 있습니다.
- 내시경적 제석술: 방광을 통하여 신요관경을 진입하여 신장의 결석 및 요관의 결석을 제거하는 신요관경 제석술과 피부에서 신장까지 통로를 만들어 신내시경을 삽입하여 결석을 제거하는 경피적 신절석술이 있다. 개복수술에 비하여 수술 후 회복이 빠르고 흉터가 없거나 작으며 통증도 적으며 체외충격파제석술로 치료가 실패했거나 치료가 어려운 결석치료에 이용 될 수 있습니다.
수술적 치료피부를 절개하고 신장이나 요관을 노출하여 결석을 제거합니다. 보통 7~10일간의 입원이 필요하며 사회활동으로 복귀까지는 2~3주가 필요하다. 최근에는 특수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시행되지 않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