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

신체 가슴 중앙부, 종격동에 발생하는
종양에 대해서 전문적이고 세분화된 진료를
시행하고 있습니다.

문의: 054-450-9586
종격동이란?

종격동이란 좌우의 가슴의 중앙부에 해당된다. 종격동 속에는 심장, 대혈관, 흉선, 기관, 좌우의 주기관지, 식도, 신경, 림프절 등이 포함되어 있다.
종격동은 해부학적으로 전, 전상, 중, 후종격동으로 구분된다. 종격동으로부터 다양한 종류의 종양이 발생하는데, 이 4개의 부위별로 보면, 종양의 종류는 상당히 좁혀진다. 이 점은 진단상의 도움이 된다.

종격동종양의 증상

가장 흔한 증상으로는 흉통, 기침, 쉰목소리, 호흡곤란이 있고 그 외에 천명음(상기도의 협착으로 인한 청진소견), 연하곤란, 호너 증후군 등이 있다. 종격동 종양의 경우 대부분 무증상으로 시작하지만

  1. 상대정맥 압박으로 인해 안면부종, 경부정맥 확장, 상지 부종을 일으킬 수 있고
  2. 기도, 식도, 대혈관으로 침범하게 되면 생명에 위협이 될 수 있다.
  3. 흉선종이 있는 경우에서는 약 50%에서 근 무력증을 동반할 수 있다.
  4. 중피종(mesothelioma), 섬유육종(fibrosarcoma), 기형종(teratoma) 의 경우에는 저혈당을 초래할 수 있고 반면에 부갑상선종은 고혈당을 초래할 수 있으며 신경원성 종양은 척수 신경 압박 증세를 일으킬 수 있다.
종격동종양의 종류

종류로는 전상종격동(anterior superior mediastinum)에 호발하는 종양은 흉선종, 기형종, 배아종 등이 있다. 반면에 후종격동에 호발하는 종양은 신경초증, 신경섬유종 등과 같은 신경계 통의 종양이다.


흉선종(thymoma)
흉선은 심장으로 출입하는 대혈관 앞면에 부착되어 있으므로 위치상 전상종격동에 발생한다.

기형종(teratoma)
대부분은 양성종앙이며 전상 종격동에서 발생한다. 드물게는 배아종, 난 황종양, 융모막암 등이 함께 혹은 단독으로 발생하는 경우도 있다. 기형종 및 배세포종양이 종격에 발생하는 기전은 태기에 배아세포의 일부가 종격에 잘못 들어가, 때때로 그것이 종양화되기 때문이라 볼 수 있다. 또한, 흉선 또는 종격 림프절에서, 악성 림프종이 발생하는 경우도 있다.

신경초종(schwannoma)
이 종양은 후종격동에 호발하며 말초신경 속(특히 늑골간신경)으로부터 발생 한다. 수술 시에 종양의 일부가 신경다발(속, fascicle)에 부착되어 있는 경우를 확인할 수 있다. 또, 드물게 소아에게서 후종격동에 신경모세포종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이것은 척추 양측에 있는 교감신경절에서 유래한다. 그러나, 신경모세포종은 부신피질로부터 발생하는 경우가 더 많다. 한편, 종격동에도 전이성 종 양이 생기는 경우가 있는데 특히, 폐암, 유방암으로부터의 전이가 많다.
종격동종양의 진단
  • 흉부 방사선 사진
  • 컴퓨터 단층 촬영
  • 대혈관 조영술 , 식도 조영술
  • 수술적 생검(조직검사)
  • 자기 공명 영상(MRI)
  • 핵 의학적 영상 스캔 등